본문 바로가기
공공기관 운영 업무 참고자료

[Personal information] 2025년 공공기관 개인정보보호 가이드: 개인정보위 주요 정책과 대비 방안

by change_sydw 2025. 1. 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삶의 터전 문지기입니다. 2025년,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가 한층 강화됩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는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방지하고, 국민 신뢰를 높이기 위해 강화된 점검 체계와 전면 공표제를 도입합니다. 본 포스팅은 공공기관 직원들이 새로운 정책을 이해하고 대비할 수 있도록 주요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개인정보.pdf
0.84MB

1. 공공기관 개인정보보호 정책 변화: 핵심 요약


① 전면 공표제 시행
•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시 전면 공개:
기존에는 법 위반 사실을 일부 마스킹 처리해 공개했으나, 이제는 모든 위반 사실을 전면 공표합니다.

② 3년 내 추가 점검 의무화
• 개인정보 대규모 유출 사고를 일으킨 공공기관은 처분 후 3년 내 추가 실태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 점검 대상: 개인정보 처리 규모가 큰 대학, 특수법인 등도 포함됩니다.

③ 포렌식랩 운영
• 첨단 포렌식랩 구축: 개인정보 유출 원인과 경로를 분석하는 전문 연구소를 운영해 공공기관의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합니다.

2. 공공기관 직원이 준비해야 할 사항


① 내부 개인정보보호 체계 점검
• 주요 점검 포인트:
•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의 취약점 확인
• 내부 관리 계획 및 보안 지침 업데이트
• 개인정보 처리 기록 및 로그 관리 강화

② 법 위반 예방 교육 필수화
• 직원 대상 교육: 개인정보보호법의 변경사항 및 위반 사례 교육 실시.
• 정기적인 교육으로 개인정보 유출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

③ 주민등록번호 등 민감 정보 관리 강화
•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민감 정보에 대한 보안 프로세스를 재점검하세요.
• 외부 위탁 시 개인정보 처리 방침이 철저히 준수되는지 확인.

3. 딥페이크 및 디지털 범죄 대응 방안


① 합성 콘텐츠 삭제 요청권 도입
공공기관도 딥페이크 기술로 생성된 콘텐츠가 직원 혹은 기관 이미지를 훼손할 경우, 삭제를 요구할 수 있는 법적 권리가 생깁니다.

② 생체 인식 정보 보호
• 공공기관이 생체 인식 기술(얼굴, 지문 등)을 사용할 경우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방안을 준비해야 합니다.
• 영상정보처리기기 법: 기관 내 CCTV 등 영상정보 관리를 위한 법적 가이드라인 준수.

4. 실질적인 대응 방안과 체크리스트


[점검 체크리스트]
1. 기관 내 개인정보 처리방침 최신화
2. 위험 요소 분석 및 시뮬레이션
  • 가상의 유출 상황을 설정하고 대응 계획 마련.
3. 내부 감사 주기 강화
  • 연간 자체 점검 및 외부 컨설팅 의뢰.
4. 위반 사례 학습 및 대응 훈련
  • 최근 공공기관 위반 사례를 분석해 유사 상황을 예방.

[행정소송 대비 방안]
• 개인정보위는 소송 전담팀을 신설하여 법적 분쟁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예정입니다.
• 공공기관은 사전 컨설팅과 법률 검토를 통해 소송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5. 마이데이터와 AI 시대를 대비하라


공공기관도 마이데이터 제도와 AI 특례 규정에 따른 데이터 활용 준비가 필요합니다.
• 가명처리 데이터 활용: 공공기관도 연구와 분석 목적에 따라 가명정보를 적정하게 활용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합니다.
• AI와 개인정보 규제: AI 기술을 활용하는 모든 부서에서 개인정보보호법과의 충돌 가능성을 검토하세요.

마이데이터 활용 예시
1. 의료 기록 연동: 국민 건강 증진 및 공공의료 서비스 혁신.
2. 최적 여행 설계: 지역 주민 관광 지원 서비스.

마이데이터(MyData)는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주권을 가지고, 이를 스스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 및 제도입니다. 기존에는 기업이나 기관이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했다면, 마이데이터는 데이터를 개인이 통제할 수 있도록 권한을 돌려주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신뢰받는 공공기관이 되기 위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강화된 정책은 공공기관에게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제공합니다. 직원들은 강화된 점검 체계를 이해하고, 철저한 사전 대비를 통해 기관의 신뢰를 높이는 데 기여해야 합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