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1월 13일 ‘2025년 업무계획’을 발표하며 ‘AI로 디지털 대전환, 과학기술로 미래선도’를 핵심 목표로 삼았습니다. 이번 계획은 △과학기술·디지털 기반 성장동력 강화 △미래 대비 R&D 시스템 혁신 및 인재양성 △민생경제 활력 견인 등 3대 정책 방향에 기반하여 추진됩니다.

핵심 내용: AI와 R&D 중심의 미래 전략
1. AI 중심의 디지털 대전환 추진
과기정통부는 AI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합니다:
•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민관 합작 투자로 AI 개발과 활용을 위한 컴퓨팅 인프라를 확대
• AI기본법 하위 법령 마련: 올 상반기까지 후속제도 설계
• 범용 인공지능 개발: 1조 원 규모의 개발 사업 기획 및 추진
•스타트업 성장 지원: AI 전환(AX) 스타트업 및 신산업 기업을 위한 정책펀드(목표 8,100억 원) 조성
• 세액공제 강화 및 해외 진출 지원: AI를 국가전략기술로 상향 지정
2. 첨단기술 투자 확대와 R&D 혁신
• R&D 투자 확대: 12대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투자를 2027년까지 정부 R&D 예산의 35%로 확대
• 첨단바이오와 양자기술: 바이오 R&D 예산을 지난해 4조 9,000억 원에서 올해 6조 4,000억 원으로 증액
• 양자컴퓨터 개발: 1,000큐비트급 양자컴퓨터 개발 프로젝트 착수
• 우주 산업: 누리호 4차 발사 및 민간 주도 재사용 발사체 개발 본격화
3. 인재 양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
• 기초연구 투자: 역대 최대 규모 예산(2조 9,300억 원) 투입
• 청년 일자리: 약 1만 2,000명 규모의 과학기술·디지털 기반 일자리 지원
• 경제적 지원 확대: 이공계 석박사 대상 연구생활 장려금 확대
디지털 전환과 민생경제 개선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국민들의 삶을 개선하고 경제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다양한 정책도 함께 추진합니다:
• 통신비 제도 개선: 통합요금제 신설 및 최적요금제 고지 등
• ‘사이버 스파이더’ 운영: AI를 활용해 위협 정보를 분석하는 보안 체계 구축
• ‘디지털안전법’ 제정: 디지털 환경에서 국민의 안전을 확보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의 비전
유상임 장관은 “AI 3대 강국 달성과 디지털 대전환을 통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과학기술과 AI를 기반으로 미래를 주도하는 국가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미래를 선도하는 대한민국, 청년과 함께한다
이번 과기정통부의 업무계획은 첨단기술 발전과 디지털 대전환을 통해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고, 청년들에게는 더 많은 기회와 일자리를 제공하려는 강력한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운영 업무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an] 2025년 국민권익위원회 주요 업무 계획: 청렴사회와 국민권익 강화를 위한 로드맵 (4) | 2025.01.14 |
---|---|
[Recurit] 2025 공공기관 신입 평균 연봉 분석: 직장인의 선택과 HR 관점에서의 영향 (2) | 2025.01.14 |
[Personal information] 2025년 공공기관 개인정보보호 가이드: 개인정보위 주요 정책과 대비 방안 (2) | 2025.01.13 |
[NEWS] 공공기관 소식 2025년 1월 13일 주요 뉴스 브리핑 (0) | 2025.01.13 |
[Strike] 기업은행 노조, “공공기관 지정 해제” 요구…임단협 갈등의 배경은? (1)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