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지방공공기관의 효율성과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매년 ‘지방공공기관 혁신 구조개혁 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2024년 평가에서는 광주광역시와 연천군이 각각 광역 및 기초 지자체 부문에서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되어 특별교부세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광주광역시의 혁신 노력과 성과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2022년부터 지속 가능한 공공기관 혁신을 위해 통합과 기능 조정 등 구조개혁에 집중해 왔습니다.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광주광역시청
내일이 빛나는 기회도시 광주의 시정뉴스, 시민참여, 분야별 정보 안내
www.gwangju.go.kr
• 공공기관 통합: 김대중컨벤션센터와 관광재단, 사회서비스원과 복지연구원을 각각 통합하여 8개 기관을 4개로 감축하였습니다.
• 경영 효율화: 경영효율화 계획을 수립하여 정원 조정, 인력 감축, 불필요한 사업 폐지 등을 통해 연평균 407억 원의 예산을 절감하였습니다.
• 제도 개선: 공공기관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시장과 공공기관장의 임기 일치(2년), 인사 검증 강화 및 인사청문회 확대(8개→12개) 등의 제도 개선을 추진하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광주광역시는 2024년 지방공공기관 혁신 구조개혁 평가에서 광역지자체 부문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되어 특별교부세 8억 원을 확보하였습니다. 
연천군의 혁신 노력과 성과
연천군은(군수 김덕현) 공공기관의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구조개혁을 추진하였습니다.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천군청
www.yeoncheon.go.kr
• 민간 위탁 운영: 한탄강관광지의 놀이시설과 재인폭포 오토캠핑장의 놀이시설을 민간에 위탁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 인력 재배치: 팀 인력 재배치 및 근무 재편성, 조직 진단 등을 통해 조직의 효율성을 강화하였습니다.
• 지역 상생 협력: 경기북부 지역발전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지역상생 및 재난안전협의체를 구성하여 지역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연천군은 2024년 지방공공기관 혁신 구조개혁 평가에서 기초지자체 부문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되어 특별교부세 5억 원을 확보하였습니다. 
지방공공기관 혁신의 중요성
지방공공기관의 혁신과 구조개혁은 지역 주민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예산 효율성을 높이며,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과제입니다. 광주광역시와 연천군의 사례는 다른 지자체에도 모범이 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혁신 노력이 필요합니다.
2024년 지방공공기관 혁신 구조개혁 평가는 지자체들의 혁신 노력을 평가하고, 우수 사례를 발굴하여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광주광역시와 연천군의 성공적인 혁신 사례는 다른 지자체들에게도 귀감이 될 것입니다.

'공공기관 운영 업무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rike] 기업은행 노조, “공공기관 지정 해제” 요구…임단협 갈등의 배경은? (1) | 2025.01.11 |
---|---|
[Guideline] 2024 사업연도 지방공기업 및 지방출자출연기관결산기준(행정안전부) (2) | 2025.01.07 |
[News] 2025년 공공기관 투자집행, 역대 최대 규모로 추진! (3) | 2025.01.06 |
[Paper] 공공언어 개선의 선두주자, 우리글진흥원의 2024년 ‘공공문장 바로 쓰기’ 대상 시상 소식 (2) | 2025.01.06 |
[Book review] 『나라를 위해 일한다는 거짓말』 : 전직 공무원이자 저자인 노한동 전 서기관 (4)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