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직행동론, 그게 뭔데요?
며칠 전 퇴근길에 오래 알고 지낸 옛 직장 동료와 밥을 먹었습니다. “우리 처장님만 아니면 회사 다닐 만 한데…” -> 그 인간 아직도 그래 사람이 쉽게 안변하는것 같아, 몇년만 참으면 퇴직 하잖아, "MZ세대도 관리하기도 너무 힘들어" 저의 대답은 “우리 회사도 그래. 요즘은 사람 때문에 일하는 느낌이야.”
듣다 보니 나도 모르게 웃음이 났습니다. 어쩌면 그게 우리가 회사를 다니면서 가장 자주 하는 말 아닐까요?
“일이 힘든 게 아니라, 사람이 힘들다.”
📚 전공은 아니지만, 마음은 깊이 들어간 곳에
먼저 고백하자면, 저는 경영학 전공자도 아니고, 조직행동론을 정식으로 배운 적도 없습니다. 제 전공은 전혀 다른 분야입니다. 다만 오랜 시간동안 인사부서에 근무 하였습니다.
그런데 직장 생활을 10년, 15년, 그리고 20년 넘게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사람에 대한 공부를 하게 되더군요.
“왜 저 사람은 저런 방식으로 일하지?” “팀워크가 잘 되던 팀과 안 되던 팀의 차이는 뭘까?” “성과를 내는 사람은 어떻게 다른 걸까?”
이런 궁금증이 쌓이면서 회사 일보다 더 열심히 읽게 된 책들이 있었습니다. 바로 조직행동론, 심리학, 리더십, 팀워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서적들이었습니다.
전공이 아니었기에 더 조심스럽고, 모르는 만큼 더 많이 찾아보고, 내 경험과 연결해서 더 깊이 이해하려 노력했습니다.
☕ 직장은 감정과 심리의 집합소
우리는 직장에서 하루의 대부분을 보냅니다. 일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영향을 주는 건 ‘사람과의 관계’입니다.
말을 돌려서 어럽게 이해할수 없도록 말 하는 상사, 나의 성과를 가로채는 동료와 직장 상사, 협업보다 경쟁을 선택하는 분위기, 대면하면 괜찮은데 메신저만 켜면 싸늘해지는 후배들
그럴 때마다 ‘왜 저러는 걸까?’ 하는 생각이 들죠.
그 질문에 답해주는 것이 바로 ‘조직행동론(Organizational Behavior)’입니다.
🧠 조직행동론, 쉽게 말하면
조직행동론은 말 그대로 “조직 안에서 인간이 왜 그렇게 행동하는가”를 다루는 학문입니다.
경영학의 한 분야지만, 심리학·사회학·행동과학을 바탕으로 개인, 집단, 조직의 행동을 관찰하고 설명합니다.
쉽게 말하면, 이런 걸 연구하죠: 왜 어떤 사람은 변화를 잘 수용하고, 어떤 사람은 극도로 거부할까?, 같은 일을 맡아도 누구는 열심히, 누구는 형식적으로 하는 이유는?, 왜 팀플에서 어떤 팀은 시너지 나고, 어떤 팀은 망가질까?
💼 직장인에게 꼭 필요한 이유
20년 넘게 조직을 경험하면서 알게 된 진실이 하나 있습니다. 일을 잘하는 것보다, 사람과 잘 어울리는 것이 더 중요할 때가 많다.
말 한마디가 성과보다 큰 평가를 만들기도 하고, 팀워크 하나로 프로젝트 전체가 뒤바뀌기도 하며 상사의 성향 하나로 내 커리어가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이런 환경에서 내가 나를 지키기 위해, 그리고 현명하게 관계를 풀어가기 위해 조직행동론은 ‘지식’이 아니라 ‘생존 기술’입니다.
✅ 앞으로 이 블로그에서
이 블로그는 전공자가 쓴 논문처럼 전문적인 글은 아니지만, 직장에서 직접 부딪히며 얻은 현실적인 사례와 수많은 책과 자료에서 얻은 통찰을 쉽고 공감가는 언어로 풀어보려는 시도입니다.
조직 안에서 겪는 작지만 반복되는 갈등, 오해, 답답함… 그 안에 숨어 있는 ‘행동의 원리’를 함께 찾아보며 조금 더 덜 지치고, 조금 더 잘 어울리며, 그리고 때론 ‘나를 지키는 법’을 함께 배워보고자 합니다.
전공분야는 아니지만, 관심은 누구보다 깊습니다.
그 진심이 이 글을 읽는 당신에게 닿기를 바랍니다.
조직 안에서 조금 더 지혜롭게, 조금 덜 지치도록. 함께 풀어가 보실래요?

[조직행동론 #3] 📘 조직행동론 입문: 조직은 왜 존재하고, 인간은 왜 그렇게 행동하는가? -
[조직행동론 #3] 📘 조직행동론 입문: 조직은 왜 존재하고, 인간은 왜 그렇게 행동하는가?
조직행동론 교과서의 첫 단원에서 다루는 주요 개념인 ‘조직의 의의, 연구방법, 목표(조직 효과성), 인간관’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야기 형식 + 이론 요약 + 실제 적용으로 구성하였
phlb.tistory.com
'조직행동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행동론 #4] 📊 조직효과성이란 무엇인가? 조직의 “성공”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2) | 2025.06.18 |
---|---|
[조직행동론 #3] 📘 조직행동론 입문: 조직은 왜 존재하고, 인간은 왜 그렇게 행동하는가? (2) | 2025.06.18 |
[조직행동론 #1] 서문: “사람 때문에 힘들고, 사람 덕분에 버틴 20년” (0) | 2025.06.18 |
[Organizational Behavior] 조직행동론 관점에서 공인과 조직의 사회적 책임: 국가 애도기간 중 적절한 행동 가이드 (44)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