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 당일 회식을 한 것을 두고 논란이 일었습니다. 하지만 이를 직장인의 관점에서 본다면, 회식은 업무의 연장선이자 팀워크를 다지는 자리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회식이 과연 부적절하다는 비판을 받을 일인지 한번 생각해 보겠습니다.
[단독] 공수처장, 尹 영장 청구 직후 음주 회식…공수처 "격려 자리"
지난 17일 고위공직자 범죄수사처는 현직 대통령에 대한 사상 초유의 구속영장을 청구했습니다. 그런데 그 직후 오동운 공수처장이 간부 몇 명과 청사 인근 고깃집에서 반주를 곁들여 저녁 회식
n.news.naver.com

직장인도 퇴근 후 회식한다
대부분의 직장인은 하루 종일 업무로 피곤한 몸을 이끌고도 동료들과의 회식을 통해 서로 격려하고 결속력을 다지곤 합니다. 특히 큰 프로젝트를 마치거나 어려운 업무를 끝냈을 때, 팀 전체의 사기를 북돋기 위해 마련되는 회식 자리는 흔한 직장 문화입니다.
이번 공수처 회식도 그 연장선으로 볼 수 있습니다. 1월 15일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은 수사팀을 격려하기 위한 자리였고, 업무와 관련된 대화가 오간 회식이었다고 공수처 측은 밝혔습니다. 이는 단순히 술을 마시는 자리가 아니라, 업무 성과를 되돌아보고 힘든 상황을 함께 나누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음주 문화에 대한 오해와 현실
이번 회식에서 와인이 언급되며 음주 논란이 더해졌습니다. 그러나 공수처 측에 따르면, 와인과 맥주는 일부 간부들만 마셨고 대부분의 직원은 음주를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현대의 회식 문화는 과거처럼 강압적 음주가 중심이 되는 모습에서 벗어나, 음주 여부는 개인의 선택에 맡기는 분위기로 변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번 자리에서는 특정업무경비로 식사비를 처리했지만, 이는 공적인 목적으로 마련된 자리였다는 점에서 문제로 보기 어렵습니다. 회식이 단순히 술을 즐기기 위한 사적 모임이었다면 비판받아야겠지만, 팀의 노고를 치하하고 격려하는 자리는 공적 업무의 연장으로 해석될 여지가 충분합니다.
회식을 문제 삼는 이중잣대
논란이 되는 것은 회식의 행위 자체라기보다, 공수처라는 기관에 대한 감정적 시선과 정치적 프레임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 기업에서도 퇴근 후 회식을 한다고 해서 비난받는 경우는 드뭅니다. 특히 주요 결정을 앞둔 긴장된 상황에서는 직원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리더의 역할이 더욱 중요합니다.
응원 화환, 대중의 또 다른 목소리
논란 속에서도 공수처를 응원하는 목소리가 화환을 통해 전달된 것은 흥미롭습니다. “다음엔 소 먹어, 돼지 말고”와 같은 유머 섞인 메시지는 회식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줍니다. 오히려 국민들은 공수처 직원들의 노고를 인정하며, 격려의 뜻을 보낸 것입니다.
회식, 업무와 팀워크를 위한 중요한 시간
공수처 회식 논란은 직장인의 일상적인 문화에 대한 이중적인 시선을 보여줍니다. 업무 후 동료들과의 저녁 식사는 피로를 풀고, 팀워크를 다지며, 서로를 격려하는 중요한 시간입니다. 모든 회식을 문제 삼기보다, 그 의도와 맥락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듯, 회식은 단순히 먹고 마시는 자리가 아니라 조직의 결속력을 다지는 중요한 순간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공수처가 방문한 식당에 대하여 별점 테러 기사를 보며, 성숙한 시민의식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회식 장소였던 음식점은 단순히 손님을 맞이하고 서비스를 제공했을 뿐인데, 그곳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는 것은 부당한 행동입니다.
개인의 의견을 표현하는 것은 자유지만, 아무 관련 없는 가게에 피해를 주는 방식은 사회적으로도, 윤리적으로도 옳지 않습니다. 우리가 지향해야 할 성숙한 시민의식은 비판의 대상을 명확히 구분하고, 감정에 치우치지 않는 태도에서 출발합니다.
별점 테러는 단순한 불만 표출을 넘어선 잘못된 행동입니다. 건강한 사회는 서로의 역할을 존중하며, 문제를 합리적이고 공정하게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만들어집니다. 감정적 반응보다 신중하고 성숙한 행동이 필요한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