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Issue] 전한길 강사 발언 논란에 민주당 과잉 대응? SYDW 생각: 정치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방식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by change_sydw 2025. 1. 22.
반응형

더불어민주당이 공무원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의 유튜브 영상에 대해 신고 조치를 취한 것이 정치권과 국민들 사이에서 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해당 영상은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와 관련된 의혹을 제기한 내용으로, 전 씨는 “투표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자”는 취지였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민주당은 이를 허위 정보로 규정하며 신고했고, 이에 대해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민주당은 이를 허위 정보로 간주해 대응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식의 정치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출처: 전한길 강사 유튜브 채널 갈무리
전한길은 대한민국의 각종 공무원 시험 및 한국사검정능력시험 한국사 스타강사. 현재 메가공무원에서 한국사를 강의한다. 1970년 8월 21일,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고죽리에서 가난한 소작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경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90학번)를 졸업하였다. 그리고 2000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지리교육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이후 경북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사 전공으로 사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출처: 나무위키>


<전한길 씨의 주요 발언 내용>

1. 선관위의 감사원 감사 거부 및 방해 주장
전 씨는 “선관위는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가기관이자 공무원인데 감사원의 감사를 거부하거나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2. 북한 해킹 의혹과 선관위 비협조 주장
전 씨는 선관위가 북한의 사이버 테러와 해킹 의혹에 대해 국정원의 조사에 비협조적이었다고 언급했습니다.
3. 전자개표 방식에 대한 비판
전 씨는 “수개표가 아닌 전자개표 방식을 고집하니 대통령은 의혹 덩어리라고 생각되는 선관위에 대해 전면적인 강제 수사를 할 수밖에 없지 않겠냐”는 발언을 했습니다.

민주당의 대응, 과잉 반응인가?


민주당은 해당 영상이 허위 정보를 퍼뜨릴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경찰 고발 대신 유튜브 신고라는 절차를 택했습니다. 이는 직접적인 법적 조치보다는 완화된 대응처럼 보이지만, 표현의 자유를 제한한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국민의힘의 비판과 대중적 반발>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신고 조치를 두고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려는 행태”라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특히 전 씨의 영상에 수만 건의 지지 댓글이 달린 점을 들어, 이번 조치가 거대 정당이 일반 국민의 목소리를 억압하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런 비판은 중도층과 무당층에게 상당한 설득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1. 유튜브 신고, 적절한 대응일까?
민주당은 190여 건의 제보를 근거로 영상을 신고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유튜브 플랫폼은 이미 자체적인 커뮤니티 가이드라인과 검증 시스템을 운영 중입니다. 굳이 정치 세력이 나서서 특정 콘텐츠를 신고하는 것은 과도한 개입으로 비칠 수 있습니다.
2. 민감한 주제에 대한 정치적 민감도 부족
선관위와 관련된 의혹은 매우 민감한 사안입니다. 이를 차단하려는 듯한 행동은 오히려 의혹을 증폭시키고, 민주당이 “숨기려 한다”는 이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이는 공론의 장에서 사실로 반박하기보다 강압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정치란?


이 표현은 권력이나 특정 이슈에 따라 유리할 땐 받아들이고, 불리할 땐 억압하거나 외면하는 정치적 행태를 비판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부정선거 의혹제기>

18대 대선 2주기를 맞은 2014년 12월 19일 당시 이재명 성남시장은 SNS를 통해 “3·15 부정 선거 능가하는 부정 선거”라고 비판한 바 있다.


1. 민주당의 이중적 태도
민주당은 과거 ‘표현의 자유’와 ‘국민의 목소리’를 강조하며 권력을 견제하겠다는 정당적 가치를 내세웠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건에서 보듯, 자신들에게 불리한 의견이 나오자 허위 정보로 간주하고 신고 조치에 나선 것은 이러한 가치와 모순된 행동으로 비칠 수 있습니다.

2. 이중적 대응의 결과
민주당의 태도는 ‘우리 편의 목소리는 표현의 자유, 상대 편의 목소리는 억압해야 할 허위 정보’라는 이중잣대를 적용하고 있다는 비판을 낳을 수 있습니다. 이는 국민들에게 신뢰를 주기보다 실망감을 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정선거 의혹, 억압이 아닌 ‘증거’로 대응해야


전한길 씨의 영상에서 언급된 내용은 부정선거에 대한 의혹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이러한 의혹을 단순히 억누르려 하기보다, 증거를 통해 명확히 반박하고 투명성을 증명해야 합니다.

1. 부정선거 의혹의 해소는 홍보 전략에 달려 있다
의혹이 제기될 때 이를 억압하거나 무시하기보다, 선관위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증명할 자료와 과정을 공개적으로 홍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개표 방식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검증한 국제적 사례나 감사 결과를 국민들에게 알리는 것이 설득력을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2. 억압은 불신을 키운다
허위 정보라고 주장하며 단순히 영상을 차단하려는 시도는 국민들이 오히려 ‘감추는 것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민주당이 진정으로 부정선거 의혹이 근거 없음을 증명하려면, 이를 밝힐 수 있는 실질적인 증거와 논리적 설명을 통해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해야 합니다.

3. 투명한 소통과 검증의 중요성
선거와 관련된 모든 의혹은 공론의 장에서 투명하게 논의되어야 합니다. 선관위가 의혹의 대상이 된 만큼, 국회 차원의 초당적 감사 요청, 전문가 검증, 그리고 국민이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자료 공개를 통해 명확히 해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민주당의 지지율 정체와 연관성


민주당은 최근 몇 년간 지지율 정체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대응 방식이 지지율 정체에 기여하는 몇 가지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1. 정치적 이미지의 부정적 강화
민주당의 이번 신고 조치는 ‘과도하게 민감하다’, ‘억압적이다’는 이미지를 강화시킬 우려가 있습니다. 이는 민주당이 국민적 소통보다는 문제를 억누르려 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2. 중도층 이탈
중도층 유권자들은 특정 정당이 권력을 활용해 개인의 표현을 억압한다고 느낄 경우 등을 돌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민주당의 지지율 정체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는 요인입니다.

3. 의혹 확산과 신뢰 약화
문제를 차단하려는 행동은 오히려 해당 의혹을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만드는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의혹에 대해 공개적이고 투명하게 대응하지 않을 경우, 민주당이 신뢰를 잃을 가능성이 큽니다.

민주당의 과제: 의혹을 대화와 증거로 해소하라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정치는 신뢰를 잃는 가장 빠른 길입니다. 민주당은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지키며, 부정선거 의혹에 대해 철저히 검증된 자료와 논리로 국민들을 설득해야 합니다. 억압은 문제를 덮는 것이 아니라, 더 큰 의혹을 만들어냅니다. 국민들은 진실을 원하며, 정치는 그것을 투명하게 보여주는 것이 기본입니다. 민주당이 이번 사건을 통해 자신들의 정치적 신뢰를 회복하려면, 차단과 억압이 아닌 소통과 증거 중심의 홍보로 대응해야 할 것입니다. 선거와 민주주의는 투명성과 공정성으로 완성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보도자료>

대통령 탄핵심판 3차 변론 중 대통령 측의 부정선거 주장에 대한 사실관계 설명

설명자료(250122)_대통령_탄핵심판_3차_변론_중_대통령_측의_부정선거_관련_주장.pdf
0.37MB


대통령 탄핵심판 2차 변론 중 대통령 측의 부정선거 주장에 대한 사실관계 설명

설명자료(250121)_대통령_탄핵심판_2차_변론_중_대통령_측의_부정선거_주장에_대한_사실관계_설명(최종).pdf
0.31MB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