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13월의 월급, 연말정산으로 더 챙기자!
[연말정산] 13월의 월급, 연말정산으로 더 챙기자! | 직장인 필독 가이드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직장인이라면 ‘13월의 월급’을 받기 위한 중요한 시기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말정산의 개념, 원리, 공제 항목 등을 알기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특
phlb.tistory.com

손택스 | 메인
mob.hometax.go.kr
🎯 연말정산 환급액 늘리는 5가지 절세 전략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13월의 월급’을 기대하게 되죠. 하지만 환급금이 생각보다 적게 나오면 아쉬운 마음이 드는 것도 사실인데요. 그렇다면 올해 남은 기간 동안 어떤 절세 전략을 세워야 할까요? 오늘은 연말정산 환급액을 최대치로 늘릴 수 있는 다섯 가지 꿀팁을 정리해 드립니다.
✅ 1. 신용카드∙체크카드 비율 맞추기
소득공제는 총급여의 25%를 초과한 금액에 대해 적용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의 공제율이 다르다는 점이에요.
• 신용카드 소득공제율: 15%
• 체크카드 소득공제율: 30%
💡 TIP:
연초부터 사용한 금액이 총급여의 25%를 초과했다면, 남은 연말까지는 공제율이 더 높은 체크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총급여가 4000만 원이고 1500만 원을 소비했다면 총급여의 25%인 1000만 원을 초과한 500만 원에 대해서만 공제가 적용돼요. 이 500만 원을 체크카드로 썼다면 공제율 30%를 적용해 150만 원의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추가 혜택:
• 전통시장·대중교통: 공제율 40%
• 책·신문·공연·영화: 공제율 30%
단, 소득공제가 적용되지 않는 항목도 있으니 주의하세요! 세금∙공과금∙상품권 구입비∙신차 구매 등은 공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2. IRP∙연금저축 활용하기
IRP(개인형 퇴직연금)와 연금저축은 가장 손쉽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수단이에요.
💼 IRP(개인형 퇴직연금)
• 연간 최대 1800만 원까지 납입 가능
• 이 중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적용
•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공제율 16.5% (148.5만 원 환급 가능)
• 총급여 5500만 원 초과: 공제율 13.2% (118.8만 원 환급 가능)
💳 연금저축
• 연간 6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99만 원 환급 가능
💡 선택 TIP:
• IRP는 세액공제 한도가 높고 과세 이연 혜택도 있어 장기적으로 유리하지만, 가입·운용이 다소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 연금저축은 투자 한도와 중도인출 조건이 자유롭지만, 세액공제 한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요.
✅ 3. 소득세 원천징수세액 조정하기
연말정산 환급금을 확인한 후 실수령액을 늘리고 싶다면 ‘원천징수세액 조정’을 고려해보세요.
• 조정 방법:
• 세액 비율을 80%로 설정하면 월 실수령액이 증가
• 세액 비율을 120%로 설정하면 환급금이 증가
💡 주의사항:
원천징수세액 비율은 1년에 한 번만 변경 가능하니 신중히 결정하세요.
✅ 4. 기부금 공제 챙기기
기부는 좋은 일도 하고 세액공제도 받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기부금은 아래 네 가지로 분류됩니다:
1. 정치자금 기부금
2. 법정기부금: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적십자사 등
3. 우리사주조합 기부금
4. 지정기부금: 종교단체, 학술연구단체 등
💡 추가 팁:
• 자원봉사도 가능: 재난지역 자원봉사 시, 봉사 1일(8시간)을 5만 원으로 환산해 공제받을 수 있어요.
• 옷 기부: 아름다운가게 등 공인된 단체에 기부하면 공제 대상이 됩니다.
• 10년 이월공제: 기부금 한도를 초과한 금액은 향후 10년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5. 연말정산 예상세액 미리보기
국세청 홈택스에서 제공하는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활용해보세요.
• 신용카드 소득공제액 계산: 19월 사용액과 1012월 예상 지출 입력
•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 예상 환급액 확인 가능
• 3년간 결정세액 추이: 공제 항목별 절세 팁 확인
💡 주의사항:
이 서비스는 예상치일 뿐 실제 환급 결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위 다섯 가지 전략을 적극 활용하면 연말정산 환급금을 크게 늘릴 수 있어요. 연말까지 남은 기간 동안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항목을 꼼꼼히 챙기고, 현명한 소비와 저축으로 ‘13월의 월급’을 두둑히 챙기세요!

'직장인 일상정보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 temporary holiday] 2025년 1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 설 연휴 최대 6일 휴식 가능, 직장인이 알아야 할 모든 것 (2) | 2025.01.08 |
---|---|
[Worker] 직장인을 위한 탈모 케어 솔루션, KAIST 기술 기반 ‘그래비티(Gravity)’ CES 2025에서 호평! (2) | 2025.01.08 |
[News] 2025년 1월 6일 뉴스 브리핑 (8) | 2025.01.06 |
[Real estate] 2025년 부동산 시장 전망: 내 마련을 고민하는 실수요자와 투자자에게 기회와 도전 (5) | 2025.01.04 |
[Paper] 2025년 주목해야 할 행정안전부 10대 정책: 직장인이 알아두면 좋은 변화 (4) | 2025.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