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공공기관 부채】2022회계연도 일반정부 및 공공부문 부채 집계결과 발표 : ’22년 일반정부 부채(D2) 1,157.2조원 공공부문 부채(D3) 1,588.7조원(2023.12.14.,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운영 업무 참고자료

by change_sydw 2023. 12. 14. 13:04

본문

반응형

’22년 GDP 대비 일반정부 부채(D2) 비율은 53.5%, 공공부문 부채(D3) 비율은 73.5%로 각각 전년 대비 2.2%p, 4.9%p 상승하였다.

 

’22년 일반정부 부채(D2)는 1,157.2조원(GDP 대비 53.5%)으로 ’21년 1,066.2조원(GDP 대비 51.3%) 대비 +90.9조원(GDP 대비 +2.2%p) 증가하였다. 이는 중앙정부의 국고채 증가(+84.3조원) 등에 기인한다.

 

’22년 공공부문 부채(D3)는 1,588.7조원(GDP 대비 73.5%)으로 ’21년 1,427.3조원(GDP 대비 68.6%) 대비 +161.4조원(GDP 대비 +4.9%p) 증가하였다. 이는 중앙정부 국고채 증가로 인한 일반정부 부채(D2) 증가 및 에너지 가격 상승 등에 따른 비금융공기업 부채 증가의 결과이다.

 

정부는 전체 공공부문의 부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11회계연도부터 국제기준에 따라 일반정부 부채(D2)와 공공부문 부채(D3)의 전년도 실적치를 매년 말 공개하고 있다. (D2・D3는 ❶ 중앙·지방의 회계・기금, 비영리공공기관・비금융공기업을 포함, ❷ 발생주의 회계기준에 따라 결산치를 사용, ❸ 공공부문 상호 내부거래를 제거하여 산출)

 

정부에서 산출·관리하는 부채통계는 국가채무(D1), 일반정부 부채(D2), 공공부문 부채(D3)로 구분되며, 국가채무는 국가재정운용계획상 재정건전성 관리지표로, 일반정부·공공부문 부채는 국가 간 비교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IMF 등 국제기구에서 국가부채 국제 비교시 일반정부 부채(D2)를 활용, 공공부문 부채(D3)는 산출 국가가 8개국에 불과하여 국제 비교에 ’22년 GDP 대비 일반정부 부채(D2) 비율은 53.5%, 공공부문 부채(D3) 비율은 73.5%로 각각 전년 대비 2.2%p, 4.9%p 상승하였다.)

 

 

< 일반정부 부채 총괄표 >

(단위 : 조원, %, %p)

구 분 ’21(A) ’22(B) 증감(B-A)
금액 GDP대비 금액 GDP대비 금액 GDP대비
일반정부 부채(=++) 1,066.2 51.3 1,157.2 53.5 90.9 2.2
ㅇ 중앙정부() 1,016.2 48.8 1,104.2 51.1 88.1 2.3
- 회계·기금 975.7 46.9 1,064.6 49.2 88.9 2.3
- 비영리공공기관 54.3 2.6 55.0 2.5 0.7 0.1
- 내부거래 13.9 0.7 15.4 0.7 1.5 0.0
ㅇ 지방정부() 69.9 3.4 72.8 3.4 2.9 0.0
- 회계·기금 68.9 3.3 70.6 3.3 1.7 0.0
- 비영리공공기관 2.9 0.1 3.5 0.2 0.6 0.1
- 내부거래 2.0 0.1 1.3 0.1 0.7 0.0
ㅇ 내부거래() 19.8 1.0 19.8 0.9 0.0 0.1

 

 

중앙정부 비영리공공기관 : 55.0조원, 전년(54.3)대비 +0.7조원 증가

- 한국농어촌공사 : 농지은행사업 차입금 증가, 미지급금 증가 등 1.2조원 증가

- 한국자산관리공사 : 선박투자회사 장기차입금 등 0.9조원 증가

- 예금보험공사 : 보험료, 파산배당금 등 수입을 통한 예보채권 순상환 등 1.3조원 감소

구 분 ’21 ‘22 내 용(단위 : 조원 
< 합 계 > 54.3 55.0  
채무증권 22.6 21.1 장학재단(9.8), 예금보험공사(6.2), 한국자산관리공사(4.1)
차입금 12.0 13.0 농어촌공사(8.5), 환경산업기술원(1.6), 농수산식품유통(1.2)
기타 미지급 19.7 21.0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3.3), 한국농어촌공사(2.9), 서민금융진흥원(2.4),
건강보험(2.3), 원자력환경공단(1.5)

 

(보도자료) 일반정부 부채 및 공공부문 부채.hwpx
0.28MB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