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일상정보 및 이슈

[재테크] 초보 주식 투자자의 증권사 선정에서 종목 선정방법(현재시점 종목 추천), 매수/매수 기준 등

change_sydw 2024. 10. 7. 10:52
반응형

초보 주식 투자자들이 증권사 선정부터 종목 선정, 그리고 매수·매도 시점까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간단하게 설명해볼게요.

1. 증권사 선택(저는 키움증권 사용)


수수료 비교: 증권사마다 주식 거래 수수료가 다르기 때문에, 저렴한 수수료를 제공하는 증권사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비대면 계좌 개설 시 일정 기간 수수료 혜택을 주는 증권사도 많으니 이를 활용하세요.

키움증권

투자정보 키우는 솔루션! 채널K 증권방송과 키움의 시니어 애널리스트들의 노련하고 안정적인 노하우, 키움이 자랑하는 싱크탱크 고객을 위한 브레인이 되겠습니다.

www1.kiwoom.com

키움증권은 17년 연속 국내 주식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 키움증권
• 시장 점유율: 19% (국내 주식)
• 개인투자자 기준 점유율: 30%
• 예탁금: 약 80조 원 (2023년 기준)
2. NH투자증권
• 시장 점유율: 약 12%
• 예탁금: 약 30조 원
3. 삼성증권
• 시장 점유율: 약 10%
• 예탁금: 약 28조 원
4. 미래에셋증권
• 시장 점유율: 약 9%
• 예탁금: 약 24조 원
5. 신한금융투자
• 시장 점유율: 약 8%
• 예탁금: 약 22조 원


•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증권사의 모바일 또는 웹 거래 시스템의 사용 편의성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초보자라면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앱을 제공하는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고객 서비스: 문의사항이 있을 때 빠르게 응답하는 고객 서비스도 중요합니다. 초보자는 다양한 질문이 생기기 마련이니까요.

• 리서치 자료 제공: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리서치 자료나 시장 분석 보고서를 통해 투자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종목 선정


산업 트렌드 파악: 먼저 자신이 관심 있는 산업이나 성장 가능성이 큰 산업을 선정하세요. 전기차, 반도체, 바이오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에 주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무제표 분석: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등 기본적인 재무제표를 확인하고, 재무가 안정적인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매출 (Revenue): 회사의 총 수익을 나타냅니다.
순이익 (Net Income): 세금과 비용을 제하고 남은 이익입니다. (예시: A회사 2023년 매출 100억 원, 순이익 20억 원)

대차대조표 (Balance Sheet):
자산 (Assets): 회사가 소유한 자산의 총액.
부채 (Liabilities): 회사가 갚아야 할 총 채무.
자본 (Equity):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예시: A회사 자산 200억 원, 부채 120억 원, 자본 80억 원)

현금흐름표 (Cash Flow Statement):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Cash Flow from Operations): 주 사업 활동에서 발생한 현금 흐름.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Cash Flow from Investing): 자산 구매 및 판매와 관련된 현금 흐름(예시: A회사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0억 원,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0억 원.)

재무비율 분석:
부채비율 (Debt Ratio): 총 부채 / 총 자산
순이익률 (Net Profit Margin): 순이익 / 매출(예시: A회사 부채비율 60% (120억 원/200억 원), 순이익률 20% (20억 원/100억 원))


PER/PBR: 주식의 가격이 고평가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PER(주가수익비율)과 PBR(주가순자산비율)을 참고하세요.

배당 수익: 안정적인 배당을 주는 기업은 주가가 하락해도 일정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대형 우량주: 초보자는 대형 우량주부터 시작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삼성전자, 현대차, SK하이닉스 같은 종목은 시장 변동성에 비교적 덜 민감합니다.

배당주: 배당을 꾸준히 지급하는 종목은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한국전력, 포스코홀딩스 같은 배당주를 고려해보세요.

ETF: 분산 투자를 통한 안정성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ETF(상장지수펀드)는 좋은 선택입니다. 예를 들어, KODEX 200 같은 ETF는 여러 종목에 투자하므로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습니다.


3. 매수 시점


분할 매수: 한 번에 전액을 투자하는 것보다, 주가가 변동할 때마다 분할 매수하여 리스크를 분산하는 방법이 좋습니다.
시장 조정기 활용: 큰 악재가 있을 때나 시장 조정기에는 좋은 기업도 주가가 일시적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시점에 매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 이슈 주시: 중요한 경제 지표 발표나 기업 실적 발표 시점은 주가 변동에 영향을 주므로 이 시점에 주의를 기울이세요.

4. 매도 시점


목표 수익률 설정: 주식을 살 때 목표로 하는 수익률을 설정하고, 목표에 도달하면 미련 없이 매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욕심을 부리다 기회를 놓칠 수 있으니까요.
손절매 기준 설정: 예상이 틀렸을 때는 일정한 손실을 감수하고 손절매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손실이 커지기 전에 미리 기준을 세워두는 것이 좋습니다.
기업 실적 변화: 투자한 기업의 실적이 악화되거나 산업 전망이 나빠질 경우 매도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에 추천하는 종목(2024.10.07, 현재)

삼성전자 (005930): 반도체 업황 개선 전망과 함께 여전히 안정적인 성장성을 가진 대형주입니다.

포스코홀딩스 (005490): 2차전지 소재인 리튬 사업의 확대로 주목받고 있으며,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LG에너지솔루션 (373220):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확장으로 계속해서 성장 잠재력이 큽니다.

KODEX 200 (069500): 국내 대표 주식 200개에 투자하는 ETF로, 분산투자를 통해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