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경영평가 업무 참고자료

[보도내용을 통해 경영학을 배우자] 퇴근 후 연락 및 야근 문제: "연결되지 않을 권리"와 "인사관리 제도 개선"

change_sydw 2024. 10. 21. 11:40
반응형
보도 내용의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3명 중 2명이 퇴근 후에도 업무와 관련한 연락을 받고 있으며, 직장인 4명 중 1명은 정시 퇴근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직장인들이 추구하는 워라밸(Work-Life Balance, 일과 삶의 균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 기업 생산성과 직원 만족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퇴근 후 업무 연락과 정시 퇴근 불가능 문제는 단순한 개인의 불편함을 넘어, 기업 전체의 성과와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사관리 관점에서 이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 인사관리 차원에서 직원들의 워라밸을 보장하고, 직무 설계와 조직 문화를 개선함으로써 기업과 직원 모두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습니다.


1. 퇴근 후 연락과 연결되지 않을 권리


퇴근 후에도 업무 관련 연락을 받는 직장인이 많다는 조사 결과는 디지털 시대의 경계 붕괴를 잘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업무 시간과 개인 시간의 구분이 점점 모호해지며, 직원들이 휴식 시간을 온전히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연결되지 않을 권리(Right to Disconnect)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접근입니다. 프랑스, 독일 등 국가에서는 이미 퇴근 후 직원에게 업무 연락을 금지하는 법을 도입하여 직원들의 휴식권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이는 업무 피로도를 줄이고, 장기적으로는 조직 몰입도와 업무 성과를 높이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권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인사관리 측면에서는 이를 제도화함으로써 직원의 업무 만족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정시 퇴근을 방해하는 요인: 업무량 과다와 사내 문화


정시 퇴근하지 못하는 주된 이유로 업무량 과다(54.9%)와 사내 분위기(36.1%)가 지적되었습니다. 이는 인사관리의 직무 설계와 조직 문화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1) 업무량 과다 문제는 직무 분석(Job Analysis)과 직무 평가(Job Evaluation)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인사관리에서 직무 분석은 각 직원의 업무량과 그에 따른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업무가 과도하게 집중된 부서나 직원에게 적절한 재조정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업무 분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인력 배치가 필요합니다.

2) 사내 분위기는 리더십 스타일과 조직 문화 변화를 통해 개선될 수 있습니다. 조직 내에서 정시 퇴근을 하는 것이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경우, 이는 조직 문화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인사관리에서 이 부분은 유연 근무제 도입이나 성과 기반 보상 제도를 통해 개선할 수 있습니다. 즉, 시간보다는 결과를 중시하는 문화를 정착시킴으로써 직원들의 근무 시간을 탄력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3. 직원 복지와 조직 성과의 상관관계


퇴근 후 연락과 정시 퇴근을 보장하지 않는 기업 문화는 직원들의 번아웃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직원들의 생산성 저하, 이직률 상승, 그리고 기업의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인사관리는 직원 복지를 관리함으로써 장기적인 성과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업무와 휴식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고, 직원들에게 충분한 휴식을 제공함으로써 더 나은 성과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직원 충성도와 조직 몰입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직원들이 휴식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리프레시가 이루어질 때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업무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4. 해결책: 인사관리 제도의 개선

<연결되지 않을 권리 제도화> 법적 의무화가 아니라도, 기업 차원에서 직원들이 퇴근 후 업무 연락을 받지 않도록 규정하거나 유연한 근무 제도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업무 효율성 증대> 직무 분석과 직무 재설계를 통해 불필요한 업무를 줄이고, 중요한 업무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직원의 직무를 재조정합니다.

<조직 문화 변화> 결과 중심의 성과 평가 시스템을 도입해 시간이 아닌 성과로 직원들을 평가하는 문화를 형성합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