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공공기관 News] 공공기관장 임기, 대통령 임기와 맞추는 공운법 개정안: 공공기관 입장에서 본 주요 쟁점

공공기관 운영 업무 참고자료

by change_sydw 2024. 11. 28. 20:15

본문

반응형
최근 여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간사가 공공기관장의 임기를 대통령 임기와 일치시키는 내용의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공운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했습니다. 이 법안은 정권 교체기마다 반복되는 공공기관 인사 갈등과 행정 공백을 줄이겠다는 취지로 제안되었습니다. 공공기관 소속 직원의 입장에서 이 개정안이 가져올 영향을 분석해 봅니다.
2200875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pdf
0.11MB


1. 공운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


1) 기관장·감사의 임기 단축 및 조정
•현행: 공기업·준정부기관 기관장 임기 3년(연임 가능).
•개정안: 기관장·감사의 임기를 2년 6개월로 단축. 연임을 해도 대통령 임기와 일치하도록 조정
2) 임명 당시 대통령 임기 종료 시 임기 만료
•기관장의 임기는 임명 당시 대통령 임기가 끝나는 시점까지로 제한되며, 전임 대통령 퇴임 직전 임명된 기관장은 잔여 임기 1년만 수행 가능
3) 기타 공공기관 적용 제외
•연구·교육·병원 등 기타 공공기관의 기관장은 개별법 및 정관에 따라 임기 유지.


2. 공공기관 입장에서 본 긍정적 효과


1) 정권 교체기 인사 갈등 해소
과거 정권마다 반복되던 공공기관장 ‘버티기-사퇴 압박’ 갈등이 완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관장 교체가 대통령 임기 종료와 맞물리므로, 정권 교체기에 업무 혼선과 내부 갈등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2) 기관 운영의 안정성 확보
기관장의 임기가 대통령 임기와 연계되면, 새 정부의 정책 기조에 맞춘 경영 방향 설정이 가능해집니다. 이는 정부와 공공기관 간 협력 강화와 정책 집행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3) 형사처벌 사례 감소
정권 교체기마다 공공기관장을 사퇴시키기 위한 압박이 반복되면서 과거 장관들이 형사처벌을 받은 사례(환경부·산업부 등)가 있었습니다. 개정안은 이러한 법적 리스크를 줄이는 데 효과적일 것입니다.


3. 공공기관 입장에서의 우려와 과제


1) 기관장 임기 단축으로 인한 정책 연속성 문제
•임기 2년 6개월은 정책의 중장기적 실행 및 완성도를 떨어뜨릴 우려가 있습니다.
•예산 편성, 대규모 프로젝트 집행 등 장기적 관점이 필요한 공공기관의 특성을 고려할 때 임기 단축이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정권 철학에 따른 잦은 교체 우려
•기관장이 정권 기조에 따라 자주 바뀌면 기관 본연의 업무보다 정권 친화적 성과에 치중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내부 업무 방향성과 독립성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3) 기타 공공기관의 형평성 문제
•이번 개정안이 기타 공공기관을 제외하면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습니다. 특히 기타 공공기관도 정책 변화의 영향을 받을 경우, 기관장 임기를 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4. 개정안이 공공기관 직원들에게 미칠 영향


1) 정책 변화에 따른 업무 방향 조정
•기관장이 정권 기조에 따라 임기를 조정받으면서 기관의 업무 방향과 목표가 변동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실무자들은 적응력을 요구받을 수 있습니다.
2) 내부 조직 안정성 강화 가능성
•기관장의 임기가 대통령 임기와 맞춰지면, 정권 교체기 인사 갈등으로 인한 조직 내 혼란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는 내부 구성원들의 사기 진작과 안정된 업무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3) 성과 압박 증가
•임기 단축으로 기관장은 제한된 시간 내에 성과를 보여야 하는 압박을 느낄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직원들에게도 단기적 성과 중심의 업무 방식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5. 공공기관이 준비해야 할 과제


1) 장기적 비전 수립
기관장이 바뀌더라도 장기적 비전이 흔들리지 않도록 내부 정책과 제도를 정비해야 합니다.
2) 정권 변화에 유연한 조직 운영
정권 변화와 함께 업무 기조가 바뀔 가능성이 높으므로, 공공기관은 유연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3) 직원 역량 강화 및 변화 관리
정책 변화와 인사 교체가 잦아질 수 있는 상황에서, 직원들의 변화 관리 능력을 키우고 업무 연속성을 보장할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마무리하며서...


이번 공운법 개정안은 공공기관의 정치적 독립성과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도로 보입니다. 하지만 내부 조직의 안정성과 정책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공공기관 소속 직원으로서도, 개정안이 가져올 변화를 이해하고 이에 대비하는 노력이 요구됩니다. 기관의 발전과 개인의 성장 모두를 위한 긍정적 변화를 만들어 가는 데 함께 힘써야 할 때입니다.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